
Webzine No.45 | 제18권 3호 <통권69호>
2025년 가을호 대한내분비학회 웹진Webzine No.45 | 제18권 3호 <통권69호>
2025년 가을호 대한내분비학회 웹진이번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EnM) 40권 2호에는 4편의 종설과 8편의 원저 논문이 실렸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당뇨병, 갑상선 질환, 암대사, 골대사 등 다양한 내분비대사 분야의 최신 연구결과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고려대 안암병원 김경진 교수는 “From Bone Health to Lifespan: Pleiotropic Effects of Antiresorptive Agents” 종설 논문에서, 항흡수제(비스포스포네이트, 데노수맙, SERM)가 단순 골절 예방을 넘어 사망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다면적 효과를 정리하였습니다. 심혈관 보호, 항염증, 항암 효과 등이 추가적인 생존 이득을 설명하는 기전으로 제시되었으며, 조기 치료와 장기 투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본 논문의 도식 그림은 이번 호의 표지 이미지로도 선정되었습니다.
분당서울대병원 공성혜 교수는 “Incorpo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Fracture Risk Assessment: Using Clinical Imaging to Predict the Unpredictable” 종설 논문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골절 위험 예측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였습니다. 기존의 골밀도 검사와 위험 계산 도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영상 기반 AI 모델이 단기 골절 예측과 개별화된 위험 평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습니다.
중국 Henan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의 Xin-Li Wei 교수 외 연구팀은 “Metformin and Adipose Tissue: A Multifaceted Regulator in Metabolism, Inflammation, and Regeneration” 종설 논문에서, 메트포르민이 단순한 혈당 조절을 넘어 지방조직의 대사, 염증, 재생에 미치는 다면적 효과를 정리하였습니다. 특히 백색 및 갈색 지방조직, 지방 줄기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기전적으로 분석하며, 대사질환과 노화 관련 질환 치료 가능성을 논의하였습니다.
서울대병원 조선욱, 손희준 교수는 “Thyroid Cancer Risk and the Next Generation of Diabetes Drugs: What Can We Learn from Incretin-Based Therapies?”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와 DPP-4 억제제의 갑상선암 안전성에 대한 최신 근거를 정리하였습니다. 한국 및 국제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종합한 결과, 인크레틴 기반 치료제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갑상선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음을 강조하였으며, 전임상 동물 실험과의 차이를 해석하는 데 있어 생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
울산의대 아산병원 안희성, 김원구 교수 외 연구팀은 “Comprehensive Proteomics and Machine Learning Analysis to Distinguish Follicular Adenoma and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from Indeterminate Thyroid Nodules” 연구에서, 포괄적 단백질체 분석과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여포선종과 여포암을 감별할 수 있는 단백질 패널을 제시하였습니다. 202 예의 갑상선 결절 조직을 분석하여, 각 진단군을 구분하는 단백질 서명을 도출하였고, FTC를 구별하는 모델의 AUC는 0.870으로 높은 성능을 보였습니다.
연세의대 이은직, 구철룡 교수 외 연구팀은 “68Ga-DOTATOC PET/CT in the Localization of Pituitary Tumors in Cushing’s Disease” 논문에서, 쿠싱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68Ga-DOTATOC PET/CT의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분비 뇌하수체 선종 국소화 능력을 평가하였습니다. PET/CT는 77%에서 선종을 국소화하였으나 MRI와 비교해 우월하지 않았으며, 수술 전 ACTH 수치가 높은 경우 PET/CT의 진단 정확도가 높음을 보고하였습니다.
캐나다 Sherbrooke 대학의 Jean-Patrice Baillargeon 교수 외 연구팀은 “Antilipolytic Insulin Sensitivity Indices Measured during an Oral Glucose Challenge: Associations with Insulin-Glucose Clamp and Central Adiposity in Women without Diabetes”에서, OGTT 기반 지방분해 억제 인슐린 감수성 지표와 clamp 검사를 비교하고, 중심성 비만 및 대사 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OGTT 유래 T50NEFA 지표가 clamp 유래 지표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그 외에도 EnM에는 다양한 내분비 영역의 최신 연구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