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지난 호 웹진 보기

Webzine No.45 | 제18권 3호 <통권69호>

2025년 가을호 대한내분비학회 웹진

최신 내분비질환

모아보기
김휘승

김휘승 중앙대학교광명병원 내분비내과

  •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에서 카그릴린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의 병용 투여 (Coadministered Cagrilintide and Semaglutide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Garvey WT, et al. N Engl J Med 2025;393(7):635-647

    REDEFINE 1은 성인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아밀린 유사체 카그릴린타이드(cagrilintide)와 GLP-1 수용체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병용요법(CagriSema)의 효과를 평가한 3a상, 다국적, 무작위·이중눈가림·위약 및 단독 대조 임상시험이다. BMI ≥30 또는 BMI ≥27이면서 비만 합병증을 가진 성인 3,417명이 등록되어 CagriSema 2.4/2.4mg, semaglutide 2.4mg, cagrilintide 2.4mg, 위약군(무작위 배정 비율 21:3:3:7)에 배정되었다. 평균 나이는 47세, 평균 체중 106.9kg, 평균 BMI 37.9이었으며, 참가자의 68%는 여성, 18%는 아시아인이었고, 고혈압(>30%)과 이상지질혈증이 흔한 동반질환이었다. 약 32%는 기저에 당뇨병전단계였다.

    68주 시점 treatment-policy estimand 기준 평균 체중 변화율은 −20.4% (위약 −3.0%)였으며, 절대 차이는 −17.3%였다. 절대 체중 감소량은 trial-product estimand 기준 약 −21.6kg에 달했다. ≥5% 체중감소는 91.9%, ≥20%는 53.6%, ≥25%는 34.7%, ≥30%는 19.3%가 달성되었으며, 이는 위약군(각각 31.5%, 1.9%, 1.0%, 0.4%) 대비 압도적으로 높았다. semaglutide 단독군의 평균 체중 감소율은 −14.9%, cagrilintide 단독군은 −11.5%였다. DXA 하위분석(7.4% 참여자)에서 총 체중 감소의 67%는 체지방, 33%는 제지방 감소에 해당했다. 전체 체지방량은 평균 −17kg, 제지방량은 −8.4kg 줄었으며, 체지방률은 −35.7% 개선되었다. 허리둘레는 −17.5cm, BMI는 −6.6 감소했다. 수축기혈압은 −9.9mmHg(위약 대비 −6.7mmHg), 이완기혈압은 −5.0mmHg 개선되었고, hsCRP 및 지질 지표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CagriSema군의 당뇨병전단계 환자의 87.7%가 정상혈당 범주로 전환된 반면, 위약군은 32.2%에 불과했다. 삶의 질 지표(IWQOL-Lite-CT, SF-36)는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기저에 신체 기능 저하가 있던 환자에서 효과가 더 컸다.

    이상반응은 전체의 92.3%에서 보고되었으며, 가장 흔한 것은 위장관계 증상(79.6%)이었다. 오심·구토·설사는 용량 증량기(16주) 동안 두드러졌고, 이후 감소했으며 변비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피로, 어지럼증, 탈모, 담낭질환, 주사부위 반응도 보고되었으나 대체로 경증이었다. 이상반응으로 인한 중단률은 CagriSema에서 5.9%로 semaglutide (3.6%)보다 다소 높았다. 중대한 이상반응은 9.8%에서 발생했으며, 주로 위장관계·간담도계 질환이었고, 사망은 2건(자살, 암) 보고되었다. 심박수는 평균 +0.94회/분 변화에 불과했다. 정신건강 평가(C-SSRS, PHQ-9)는 네 군 간 차이가 없었다.

    REDEFINE-1은 과체중 또는 비만환자에서 CagriSema가 단독 요법이나 위약 대비 월등히 큰 체중 감소 효과(−20% 이상)를 유도함을 입증했다. 이는 외과적 수술에 준하는 효과로, 당뇨병전단계 환자에서의 정상혈당 전환율, 혈압 및 염증 지표 개선, 삶의 질 향상까지 확인되어 비만 치료의 새로운 기준치로 제시될 수 있다. 다만 장기 심혈관 이득과 안전성 데이터가 필요하며, 일부 환자는 최대 용량에 도달하지 않고도 충분한 효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개인 맞춤형 용량 조정 전략이 임상에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2형 당뇨병과 과체중 또는 비만이 있는 성인에서 카그릴린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의 병용 투여 (Cagrilintide–Semaglutide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and Type 2 Diabetes)

    Davies MJ, et al. N Engl J Med 2025;393(7):648-660

    REDEFINE 2는 아밀린 유사체 **카그릴린타이드(cagrilintide)**와 GLP-1 수용체 작용제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를 병용한 CagriSema의 효과를 2형 당뇨병을 동반한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서 평가한 임상시험이다. 72주간 진행된 다국적, 무작위·이중눈가림·위약 및 단독 대조 3상 임상시험으로, 환자들은 BMI ≥27이면서 HbA1c 7.0~10.0% 범위의 T2DM 환자였다. 총 1206명(평균 연령 56세, 평균 BMI 36.2, 평균 당뇨 유병 기간 8.5년)이 등록되어 3:1 비율로 CagriSema 2.4mg/2.4mg 주 1회 또는 위약군에 배정되었으며, 모두 생활습관 중재를 병행했다. 16주간 단계적 용량 증량을 거쳐 2.4mg에 도달했고, 총 치료 기간은 68주였다. 환자의 85.9%가 메트포르민, 33.7%가 SGLT-2 억제제, 26.3%가 설포닐유레아를 복용 중이었다.

    Treatment-policy estimand 기준 68주 시점 평균 체중 변화율은 −13.7% (위약 −3.4%), 절대 차이 −10.4%였다. Trial-product estimand에서는 −15.7%였다. 체중 감소 ≥5%는 83.6%, ≥10%는 65.6%, ≥15%는 43.8%, ≥20%는 22.9%가 달성해 위약군(각각 30.8%, 10.3%, 2.4%, 0.5%) 대비 유의하게 높았다. 평균 허리둘레 변화는 −11.9cm (위약 −3.6cm)였다. HbA1c 변화는 −1.8%p (위약 −0.4%p, 차이 −1.4%p)였고, trial-product estimand에서는 −2.0%p에 달했다. HbA1c ≤6.5%를 달성한 환자는 73.5% (위약 15.9%)였다. 공복혈당, 공복 인슐린도 개선되었고, 약제 감량(35.3%)이 용량 증량(5.8%)보다 많아, 병용요법이 추가적 혈당강하제 의존성을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CagriSema군은 Time In Range 값이 43.6% → 86.8%로 증가했으며, 위약군은 41.3% → 50.2%에 그쳤다. Time Below Range 값은 두 군 모두 <1%로 낮았다. 수축기혈압은 −6.5mmHg (위약 −2.4mmHg), hs-CRP 및 지질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삶의 질 점수(IWQOL-Lite-CT, SF-36v2) 역시 개선되었으며, 특히 기저에 신체 기능 저하를 보고한 환자에서 효과가 더 컸다.

    전체 이상반응은 90.2% (위약 85.4%)로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가장 흔했으며 CagriSema군에서 72.5%, 위약군에서 34.4%였다. 대부분 경·중등도였고, 오심·구토·설사는 증량기에 집중되었다. 변비는 치료 내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상반응으로 인한 중단은 CagriSema군에서 8.4%, 위약군에서 3.0%였으며, 위장관계 부작용이 주된 원인이었다. 주사부위 반응(4.9%)과 췌장염(0.3%) 사례가 보고되었으나 새로운 안전성 신호는 없었다. 2단계 저혈당은 6.0% vs 3.3%, 3단계는 0.2% (2명, 모두 SU 병용)에서 발생했다. CagriSema군에서 4건(자살, 암, 급사 등)이 있었으나, 위약군에서는 없었고, 약제 관련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REDEFINE 2는 당뇨병 환자에서도 평균 13.7% 체중 감소와 1.8% HbA1c 감소라는 이중 효과를 입증했다. 특히 환자의 3/4이 HbA1c ≤6.5%를 달성하고, 다수는 혈당강하제를 줄일 수 있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비당뇨군(REDEFINE 1)보다 체중 감소 폭은 다소 작았지만, 당뇨 환자에서 체중·혈당 동시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미가 크다. 위장관계 이상반응은 예상 범위 내였으며, 저혈당은 드물고 대부분 설포닐유레아 병용 환자에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