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지난 호 웹진 보기

Webzine No.44 | 제18권 2호 <통권68호>

2025년 여름호 대한내분비학회 웹진

EnM Highlight

모아보기

Endocrinol Metab Volume 40(2); 2025

이번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EnM) 40권 2호에는 3편의 종설과 9편의 원저 논문이 실렸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당뇨병, 갑상선질환, 암대사, 골대사 등 다양한 내분비대사 분야의 최신 연구결과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서울의대 공성혜 교수 외 연구팀은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and Hypocalcemia Risk of Antiresorptive Agents in Patients with Hypercalcemia of Malignancy”라는 제목으로 악성종양 관련 고칼슘혈증(HCM)에 대해 데노수맙과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의 효과와 저칼슘혈증 발생 위험을 비교하였습니다. 317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서, 데노수맙은 칼슘 수치를 평균 2.0 mg/dL 감소시켰고, IV 비스포스포네이트만 사용한 군에서는 1.8 mg/dL, 비스포스포네이트와 칼시토닌 병용군에서는 2.7 mg/dL로 가장 큰 감소를 보였습니다. 저칼슘혈증 발생은 데노수맙 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습니다. 본 연구는 HCM 치료에서 데노수맙의 안전성과 효과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공합니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구유정 교수 외 연구팀은 “Risk of Osteoporotic Fractures among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라는 제목의 연구에서 건강보험 샘플코호트를 바탕으로 갑상선암 환자와 일반 인구의 골절 위험을 비교하였습니다. 2,514명의 환자와 75,420명의 대조군을 분석한 결과, 갑상선암 환자군에서 골절 위험이 오히려 낮았으며, 이는 특히 50세 이후 진단된 여성에서 두드러졌습니다(HR 0.72). 조기 골다공증 치료의 영향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서울의대 문준호 교수 외 연구팀은 “Metabolic Phenotypes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ffect the Risk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에서 임신성 당뇨병(GDM) 산모의 대사 표현형에 따라 임신 결과에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고BMI 및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군은 대사적으로 민감한 군에 비해 LGA 및 제왕절개율이 높았으며, 반면 β세포 기능 저하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는 GDM 관리 시 환자 맞춤형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서울의대 배재현 교수 외 연구팀은 “Effectiveness and Safety of Oral Quadruple Combin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라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경구 4제 병합요법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총 17개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 HbA1c는 평균 1.1% 추가 감소하였고, 주사 치료군 대비 비열등하거나 오히려 우수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이상반응 위험도 유사하여 주사 전환에 대한 대안으로 경구 4제 요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성균관의대 이은정 교수는 “Prevalence and Current Status of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Based on Fact Sheets 2024” 리뷰 논문에서 최근 발표된 비만,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관련 팩트시트를 종합하여 국내 심혈관 위험인자의 현황을 소개하였습니다. 2022년 기준 비만율은 38.4%, 고혈압 30%, 당뇨 15.5%, 이상지질혈증 40.9%로, 고령화와 함께 심혈관 질환 부담이 증가하고 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서울의대 이지예 교수 외 연구팀은 “Ultrasound Imaging Criteria and Protocols for Active Surveillance of Low-Risk Thyroid Cancer” 리뷰 논문을 통해 저위험 갑상선유두암의 감시치료(active surveillance, AS)에 사용되는 영상 기준 및 국제 가이드라인을 비교 정리하였습니다. 한국갑상선영상의학회(KSThR)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종괴 크기, 피막 침범, 림프절 전이 등을 초음파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추적관찰 및 수술 전환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리뷰는 국내외 AS 실행에 있어 표준화된 영상 프로토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연세대 간호대학 오윤진 교수와 성균관의대 송수정 교수는 “Association of Steatotic Liver Disease with Retinal Vascular Occlusion: The Influence of Obesity in a Large Health Screening Cohort”라는 제목의 연구에서, 지방간 질환과 망막혈관폐쇄(RVO)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습니다. 강북삼성병원 검진센터의 35만 명 이상의 건강검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NAFLD, MAFLD, MASLD 환자군에서 RVO 위험이 각각 1.26~1.50배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연관성은 BMI 보정 후에는 감소하였습니다. SLD와 기타 망막 질환(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등)과의 연관성은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는 대사 관련 지방간 질환이 RVO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 연관성에 비만이 주요 매개 요인임을 시사합니다.

그 외에도 EnM에는 다양한 내분비 영역의 최신 연구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Figure. Prevalence of obesity in the last 10 years (2013 to 2022). Modified from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25;40(2):174-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