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2025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학연산 심포지엄 | 2025.10.30(목) ~ 11.1(토) | 롯데호텔 부산

프로그램

갑상선

Symposium 1
Emerging mechanisms and interactions in autoimmune thyroid disease

10월 31일(금) 08:30-09:50, Room1
소개의 글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소인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의 병태생리와 관련하여 셀레늄의 역할과 장내 미생물군이 미치는 영향 등 최근 주목받고 있는 새로운 기전을 고찰하고, 갑상선 안병증의 병태 생리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들이 논의될 예정입니다. 자가면역 갑상선질환의 발병 기전과 관련된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유익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좌장: 김선욱(성균관의대), 김태용(울산의대)
08:30-08:50 Understanding the role of selenium in autoimmune thyroid disease
조선욱(서울의대)
08:50-09:10 Emerging role of the gut microbiome in Graves’ disease
정채호(가톨릭의대)
09:10-09:30 Deep insight into the pathophysiology of thyroid eye disease
고재상(연세의대 안과)
09:30-09:50 Q&A
Symposium 6
Remained barriers to therapeutic choice for thyroid diseases

11월 1일(토) 08:30-09:50, Room1
소개의 글
국내 근거와 장기적인 경험의 축적을 바탕으로 갑상선 질환 치료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임상적 고민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그레이브스병 치료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에 대해 최근 국내 진료 지침 마련 과정에서 논의된 주요 쟁점을 소개하고,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미세갑상선유두암에 대한 적극적 감시의 흐름 속에서 국내 코호트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연구 결과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또한 적극적 감시 시대에서 thermal ablation의 역할과 임상적 의의를 함께 논의하고자 합니다.
좌장: 김보현(부산의대), 김원구(울산의대)
08:30-08:50 The optimal timing of radioactive iodine(RAI) therapy in the treatment of Graves’ disease
윤지희(전남의대)
08:50-09:10 Evolving experience in active surveillance: new data, key lessons
이은경(국립암센터)
09:10-09:30 What is the role of radiofrequency ablation in the era of active surveillance for PTMC?: experience from a long-term cohort study in Korea
김지훈(서울의대 영상의학과)
09:30-09:50 Q&A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