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2025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학연산 심포지엄 | 2025.10.30(목) ~ 11.1(토) | 롯데호텔 부산

프로그램

근육/미네랄/골대사

Symposium 2
Beyond the barriers: Rethinking osteoporosis medications

10월 31일(금) 08:30-09:50, Room2
소개의 글
본 세션은 골다공증 치료제에 초점을 맞추어 준비하였습니다. 울산의대 김범준 교수는 골다공증 약제를 이해하기 위해 내분비 의사가 알아야 할 골 생리학의 기초 강의를 준비하였고, 가톨릭의대 하정훈 교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데노수맙을 활용한 장기치료 전략, 연세의대 김경민 교수는 SERM과 여성호르몬 무엇이 비슷하고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경험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좌장: 신찬수(서울의대), 백기현(가톨릭의대)
08:30-08:50 Basics of bone biology to understand osteoporosis medication
김범준(울산의대)
08:50-09:10 Long-term treatment of bisphosphonates and denosumab: How far can we go?
하정훈(가톨릭의대)
09:10-09:30 SERM vs. HRT: what’s similar, what’s not?
김경민(연세의대)
09:30-09:50 Q&A
Symposium 8
National perspectives on osteoporosis: Korean guidelines and collaborative care

11월 1일(토) 11:10-12:30, Room1
소개의 글
본 세션에서는 골다공증 진료 및 연구 전반에 대해서 다루고자 합니다. 고려의대 김경진 교수는 우리나라 국가 데이터를 활용한 역학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경희의대 박소영 교수는 폐경 골다공증 치료를 위한 국내 권고안을 공유하고, 한림의대 곽미경 교수는 내분비학회, 골대사학회, 구강외과 학회 등 관련 학회에서 마련한 약제 관련 MRONJ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 의사간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할 예정입니다.
좌장: 정호연(경희의대), TBD
11:10-11:30 Leveraging Korean national data for osteoporosis epidemiology
김경진(고려의대)
11:30-11:50 KSBMR position statement: treatment strategies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Korea
박소영(경희의대)
11:50-12:10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endocrinologists and dentists: multidisciplinary insights on MRONJ
곽미경(한림의대)
12:10-12:30 Q&A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