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2025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학연산 심포지엄 | 2025.10.30(목) ~ 11.1(토) | 롯데호텔 부산

프로그램

학연산 심포지엄

학연산 심포지엄 1
비만 치료제 개발 동향 및 다학제적 접근법

10월 31일(금) 08:30-09:50, Room4 소개의 글
본 세션에서는 학계와 산업계가 협력하여 진행하고 있는 비만치료제 개발 동향을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공유합니다. 서울의대 최형진 교수는 내분비내과 전문의이자 식욕을 연구하고 있는 뇌과학자로서 식욕억제제 개발과 관련된 unmet need와 학계의 개발 동향을 소개합니다. 한미약품의 전해민 상무는 한미의 비만치료제 개발 역사와 그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개념의 비만치료제를 소개합니다. SP2TX의 장명훈 대표는 펩타이드 신약 개발을 위한 bioinformatics AI와 펩타이드 합성 개술을 통한 기술 혁신을 소개합니다. 실제로 함께 공동연구개발을 하고 있는 이번 세션을 통해 비만치료제 개발 산학협력의 노하우를 확보하시기를 바랍니다.
좌장: 박정현(인제의대), 오병철(가천의대)
08:30-08:50 비만 치료제의 개발의 미충족 수요와 전망
최형진(서울의대 해부학교실)
08:50-09:10 Development history of H.O.P(Hanmi obesity pipeline) with future perspectives
전해민(한미약품 R&D센터)
09:10-09:30 AI 기반 펩타이드 디자인과 차세대 합성 플랫폼의 결합: 비만 치료제 개발 가속화
장명훈(SP2TX)
09:30-09:50 Q&A
학연산 심포지엄 2
그레이브스병의 정밀의학 접근 및 융합 연구방향

10월 31일(금) 10:00-11:20, Room3 소개의 글
항갑상선제는 1940년대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갑상선 기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전체 환자의 약 25%는 약물 불응성, 중등도 이상의 안병증, 또는 빈번한 재발 등으로 인해 난치성 그레이브스병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레이브스병 환자에 대한 새로운 분류 체계, 정밀한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혁신적인 치료 타깃의 발굴이 필요합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세 분의 연사가 각각 그레이브스병의 연구를 위한 차세대 마우스 모델, 통합형 모니터링 솔루션, 그리고 새로운 치료 전략에 대해 강연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좌장: 김은숙(울산의대), 임동준(가톨릭의대)
10:00-10:20 그레이브스병 전임상 연구를 위한 Cre-loxP 기반 마우스모델의 구축과 활용
김다함(연세의대)
10:20-10:40 갑상선안병증 모니터링 AI 의료기기
문재훈(서울의대)
10:40-11:00 FcRn 억제제 기반 치료제의 개발과 그레이브스병에서의 임상 적용
김영주(한올바이오파마 글로벌연구센터)
11:00-11:20 Q&A
학연산 심포지엄 3
스마트헬스케어 실용화를 위한 다각적 전략 : 스마트헬스케어 특임위원회 조인트 심포지엄

10월 31일(금) 13:40-15:00, Room4 소개의 글
내분비학에서 스마트 헬스케어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스마트 헬스케어의 실용화를 위해 내분비학적 관점, 임상 적용 경험, 그리고 산업계의 글로벌 전략까지 아우르는 다각적 논의가 마련되었습니다. 본 세션에서는 국내 내분비 전문의들의 인식 조사 결과, 당뇨병 관리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사례, 그리고 디지털 헬스 기업의 규제 및 해외 진출 경험을 공유합니다. 이를 통해 학문적·임상적·산업적 측면에서 스마트 헬스케어의 현주소와 미래 발전 방향을 조망하고자 합니다.
좌장: 김철희(순천향의대), 조재형(가톨릭의대)
13:40-14:00 Perspectives and utilization of smart healthcare technologies among Korean endocrinologists: Insights from a society-wide survey
백한상(가톨릭의대)
14:00-14:20 Real-world implementation of smart healthcare technologies in diabetes management
권소윤(대구가톨릭의대)
14:20-14:40 Navigating regulatory pathways, and global expansion: a digital health company’s journey
안준(㈜타이로스코프)
14:40-15:00 Q&A
학연산 심포지엄 4
한국인 대상 파일럿 임상 연구 동향

10월 31일(금) 16:50-18:10, Room4 소개의 글
본 세션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내분비 분야 clinical pilot study의 아이디어가 어떻게 형성되고, 이를 실제 임상 연구로 발전시켜 나가는지 그 과정을 공유하는 자리입니다. 내분비내과 교수님들의 실제 국내 연구 사례를 통해 기초 연구·임상 관찰에서 출발한 가설이 설계, 수행, 분석 단계를 거쳐 근거 기반의 임상 연구로 이어지는 전환 과정을 살펴봅니다. 먼저 연세의대 남지선 교수가 근육 유래 마이오카인(Musclin)의 운동 반응과 심혈관 대사 연계성에 대해 소개 예정이며, 서울의대 배재현 교수가 취약계층 당뇨병 환자를 위한 모바일 기반 신체·정신 건강 통합 관리 임상시험에 대해 강연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충남의대 강예은 교수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rosuvastatin과 rosuvastatin/ezetimibe 병용 요법의 면역 노화 지표 개선 효과에 대해 소개합니다. 연구 기획 단계에서의 고민, 수행 과정에서의 도전과 해결 전략, 그리고 향후 확장 가능성부터 현장의 생생한 인사이트와 연구 전환의 성공 전략까지 전해 드립니다.
좌장: 김수경(차의과학대), 김종화(부천세종병원)
16:50-17:10 Dynamic Response of Musclin, a Myokine, to Aerobic Exercise and Its Interplay With Natriuretic Peptides and Receptor C
남지선(연세의대)
17:10-17:30 Enhancing Diabetes Care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n Integrat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among Disadvantaged Individuals
배재현(서울의대)
17:30-17:50 Distinct effects of rosuvastatin and rosuvastatin/ezetimibe on senescence markers of CD8+ T cell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강예은(충남의대)
Panel discussion
17:50-18:10
조은희(강원의대)
상현지(경희의대)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