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2025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학연산 심포지엄 | 2025.10.30(목) ~ 11.1(토) | 롯데호텔 부산

프로그램

당뇨병/비만/지질(기초)

Young scientist symposium
10월30일(목) 14:00-16:00, Room3
Symposium 5
Revisiting cancer biology from a metabolic perspective

10월 31일(금) 16:50-18:10, Room1 소개의 글
본 세션에서는 암세포 대사에 대한 최신 연구를 소개합니다. 연세대 황성순 교수는 cancer cell의 one-carbon metabolism을 통한 대사적 유연성과 면역회피 조절 기능에 주목하며, 대사 효소 억제를 통한 면역치료 시너지 전략을 제시합니다. POSTECH 이민식 교수는 췌장암의 독특한 대사 의존성을 소개하며, 특히 비전형적 glutamine 기원 polyamine 합성 경로가 어떻게 치료 타깃이 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단국대 이남규 교수는 필수 미량 원소인 셀레늄의 비정형적 대사 경로와 ferroptosis 유도 기전을 소개하며, 독성 대사체를 활용한 선택적 항암 전략을 탐색합니다.
좌장: 오태근(충북의대), 김하일(KAIST)
16:50-17:10 One-carbon metabolism: A metabolic driver of plasticity and immune escape
황성순(연세의대 의생명과학부)
17:10-17:30 Targeting metabolic vulnerabilities in pancreatic cancer
이민식(포항공대 생명과학과)
17:30-17:50 Selenium metabolism in ferroptosis: From nutrient to cancer therapy
이남규(단국대 의생명과학부)
Panel discussion
17:50-18:10
김형석(충남대)
최동욱(고려대)
Symposium 7
Proteostasis i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11월 1일(토) 08:30-09:50, Room2
단백질 항상성(proteostasis)은 특히 간과 근육과 같이 대사 활성이 높은 조직에서 세포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생물학적 기전입니다. 본 세션에서는 오토파지(autophagy, 자가포식) 및 단백질 분해 경로가 대사 조절과 노화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내분비계 기능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시합니다. 세포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분해 및 항상성 기전 연구를 소개함으로써, 단백질 항상성을 조절하는 접근이 대사질환 치료 전략으로서 갖는 가능성을 조망하고자 합니다.
좌장: 임승순(계명의대), 황성순(연세의대 의생명과학부)
08:30-08:50 Targeting LAMTOR1 to restore proteostasis: Autophagy-mediated therapeutic potential of acacetin in MAFLD
권호정(연세대 생명공학과)
08:50-09:10 Protein degradation by chaperone-mediated autophagy and hepatic lipid metabolism
이병훈(서울대 약학대학)
09:10-09:30 Targeting proteostasis to delay organismal aging
현서강(중앙대 생명과학과)
Panel discussion
09:30-09:50
김경진(인하의대)
김현경(고려의대)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