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부신

류영상 (조선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수술로 치료가능한 일차알도스테론증 진단을 위한 [11C]metomidate PET-CT 와 부신정맥채혈의 유효성 비교: 전향적, 환자내 연구
[11C]metomidate PET-CT versus adrenal vein sampling for diagnosing surgically curable primary aldosteronism: a prospective, within-patient trial

Wu X, et al. Nat Med. 2023 Jan;29(1):190-202

알도스테론생성종양(aldosterone-producing adenoma)으로 인한 일차알도스테론증(primary aldosteronism)은 고혈압의 흔한 원인이다. 일차알도스테론증은 허혈성 심장병, 뇌졸중 및 신부전과 같은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적극적인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일차알도스테론증 환자 중 대다수는 부신 절제술을 통해 개선될 수 있지만, 수술 전 시행하는 부신정맥채혈(adrenal vein sampling)과 같은 침습적인 검사 방법으로 인해 1% 미만의 환자만이 치료 기회를 받을 수 있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143명의 일차알도스테론증 환자를 대상으로, 비침습적 검사 중 하나인 [11C]metomidat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omputed tomography, MTO)의 정확도를 부신정맥채혈과 비교하여 수술 후 일차알도스테론증의 생화학적 회복 및 고혈압의 호전 여부를 분석하였다.

총 128명의 환자가 6-9개월까지 추적관찰이 되었고, 78명(61%)은 수술로 치료되었고 50명(39%)은 약물 치료를 받았다. 수술을 시행 받은 78명 중 77명이 일차알도스테론증 수술 성공 기준을 하나이상 달성하였다. 부신 절제술 이후 MTO의 생화학적 및 임상적 성공 예측 정확도는 각각 72.7%와 65.4%이며, 부신정맥채혈의 정확도는 각각 63.6%와 61.5% 로 두 검사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심각한 부작용 24건 발생하였으나 두 검사와 관련성은 낮았고, 22건은 완전히 해결되었다.

결론적으로, 일차알도스테론증 치료를 위한 부신수술 전 예측 검사로서, 침습적인 부신정맥채혈 검사와 비교하여 비침습적인 MTO 검사가 유용한 대안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비기능성 부신샘종 환자의 사망률 분석: 대응 코호트연구
Mortality not increased in patients with non-functional adrenal adenomas: a matched cohort study

Kjellbom A,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23 Feb 17;dgad074.

경도 자율 코티솔 분비(mild autonomous cortisol secretion, MACS)는 부신우연종(adrenal incidentalomas) 환자에서 사망률 증가와 연관된 것과는 달리,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기능성 부신샘종(non-functional adrenal adenomas)의 사망률에 대한 자료는 많지 않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비기능성 부신샘종 환자와 경도 자율 코티솔 분비 환자의 코티솔 분비능에 따른 사망위험을 분석하였다.

스웨덴의 두 내분비센터에서 진행된 연구로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부신우연종을 진단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및 거주지에 대해 대조군을 3배수로 매칭하였다. 주요 종말점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을 분석했다. 환자들은 1mg 덱사메타손 억제검사 후 코티솔 수준(cortisol DST)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각군의 사망률을 분석하였다(<50 (비기능성 부신샘종), 50-82, 83-137 및 ≥138 nmol/L).

1154명의 환자와 3462명의 매칭된 대조군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추적 기간은 평균 6.6년이었으며, 210명의 환자와 505명의 대조군이 사망하였다. 비기능성 부신샘종 환자와 대조군 간에는 사망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cortisol DST가 83-137 (HR 1.99 (1.38-2.88)) 및 ≥138 nmol/L (HR 4.09 (2.41-6.93))인 환자와 대조군 간에는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마찬가지로, 65세 이하의 cortisol DST 50-82 nmol/L 환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사망 위험이 증가하였다(HR 2.33 (1.30-4.17)).

결론적으로, 비기능성 부신샘종은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으나 경도 자율 코티솔 분비, 특히 cortisol DST ≥83 nmol/L, 어린 환자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spon MSD AMGEN 릴리 종근당 동아ST 셀트리온 유한양행 아스트라제네카 한미약품 대웅제약 한독 SANOFI LG화학 novo nordisk 제일약품 이노엔 Daiichi-Sankyo 릴리 보령제약 부광약품 다림바이오텍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정윤석
  • Tel : 02-714-2428 | Fax : 02-714-5103 | E-mail : endo@endocrinolog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