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당뇨병

김경영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SGLT2 억제제와 치매 발생 시간의 연관성
Association of 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s With Time to Dementia: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Che-Yuan Wu et al. Diabetes Care 2023; 46(2): 297–304

제2형 당뇨병은 치매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당뇨병이 있는 노인의 인지 저하를 늦추기 위한 임상지침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인구 기반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2차 약물로 DPP-4 억제제와 비교하여 SGLT2 억제제의 사용이 66세 이상의 당뇨병 환자의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치매가 없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에서 DPP-4 억제제는 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

지난 1년 동안 SGLT2 억제제 또는 DPP-4 억제제를 처방 받지 않았고, 새로 처방 받은 환자들을 신규 사용자로 정의하였다. 두 가지 약제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이전 치매 병력이 있는 경우, 장기 요양 시설에 거주하는 사람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질병 잠복기 논란 및 역 인과성을 배제하기 위해 1년 이내 사건이 발생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106,903명 중 36,513명이 SGLT2 억제제를 시작했고 70,390명이 DPP-4 억제제를 시작했다. 통계 분석방법은 Propensity score-weighte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사용하였다. Intention-to-treat 분석에서 (평균 추적기간 2.8년, 총 관찰기간 192,453인년) 2,731건의 치매 사례가 관찰되었다. 매칭된 환자 군에서 (SGLP2 억제제 36,513명, DPP4 억제제 36,545명) SGLT2 억제제의 사용은 DPP-4 억제제 사용에 비해 치매 발생 위험을 유의미하게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SGLT2 억제제 560건/59642.93인년 vs. DPP-4 억제제 696 건/59,057.34 인년, Odds ratio(OR) 0.80, 95% Confidence interval(CI) 0.71–0.89]. 하위 그룹 분석에서 SGLT2 억제제 중 dapagliflozin이 치매 위험이 가장 낮았고 (OR 0.67, 95% CI 0.53–0.84), empagliflozin이 그 뒤를 이었다 (OR 0.78, 95% CI 0.69–0.89). 반면 canagliflozin은 DPP4 억제제와 비교했을 때 치매 발생과의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OR 0.96, 95% CI 0.80–1.16).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SGLT2 억제제 사용자 중 남자보다 여자에서 [남자 OR 0.85, 95% CI 0.74–0.99 vs 여자 (OR 0.72, 95% CI 0.61–0.86) 치매 발생위험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SGLT2 억제제는 DDP-4 억제제와 비교해 당뇨병이 있는 노인에서 치매 발병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치매 발병위험이 높은 노인 환자의 당뇨병 치료제 선택 시 SGLT2 억제제 사용이 다른 금기사항이 없다면 우선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empagliflozin의 효과와 안전성 (EMPA-KIDNEY study)
Empagliflozi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hristoph W et al. N Engl J Med. 2023 January 12; 388(2): 117–127.

이전 SGLT2억제제의 신기능 보호 효과에 관해 보고된 연구 결과들이 있다. Canagliflozin에 대한 CREDENCE연구는 eGFR 30 ml/min/1.73m2 (3단계 이하) 미만인 환자는 제외하였다. DAPA-CKD 연구는 당뇨병 동반 여부와 무관하게 진행된 만성 신부전 환자들을 (eGFR 25-75㎖/min/1.73㎡, 소변 알부민뇨 200-5000㎎/g) 대상으로 dapagliflozin이 위약 대비 신기능의 감소를 낮추고 신장 및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낮추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광범위한 만성 신부전 (eGFR ≥25 to <45 ml/min/1.73m2 or 소변 알부민뇨 200mg/g 이상이면서 eGFR ≥45 to <90 ml/min/1.73m2 ) 환자에서 empagliflozin이 위약 대비 신 기능 보호 및 사망률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포함된 6,609명의 만성신부전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3.8세, 평균 eGFR 37.3 ml/min/1.73m2, 소변 알부민뇨 중앙값은 329mg/g이다. 지역적 차이가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만성 신부전 환자는 소변 알부민뇨가 300mg/g 미만으로 낮고 당뇨병이 없다. 이 연구는 전체 대상자 중에서 약 35%는 4단계 신부전 (eGFR <30 ml/min/1.73m2) 을 가지고 있고 54%는 당뇨병이 없었으며, 48%는 소변 알부민뇨가 300mg/g 미만이었다. (DAPA-CKD: 4단계 신부전 14%, 비당뇨병 32.5%) 일차 복합 평가 지표는 신장 질환의 진행 (말기 신장 질환, eGFR <10 ml/min/1.73m2 지속, eGFR ≥ 40% 지속적 감소, 또는 신장 사망) 또는 심혈관 원인으로 인한 사망 발생이었다. 2차 평가 지표는 신장 사건, 심혈관 사망 또는 심부전에 의한 입원 및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으로 평가하였다. 일차 결과 사건은 empagliflozin 사용군은 13.1%(432명/3304명), 위약군은 16.9%(558명/3305명) 에서 발생하였고 (HR 0.72, 95% CI 0.64-0.82) 무작위배정에서 eGFR 및 당뇨병의 동반 여부와 상관없이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Empagliflozin 군에서 모든 원인으로 인한 입원은 더 적었지만 (HR 0.86, 95% CI 0.78-0.95),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나 심혈관계나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입증하지는 못하였다. 심각한 부작용의 발생률은 두 군에서 대체로 비슷하였고 케톤산증은 empagliflozin 군에서 6명, 위약군에서 1명 발생하였다.

2년 간 진행된 연구로, 당뇨병 유무와 상관없이, 광범위한 신장 기능에 걸쳐 진행 위험이 있는(eGFR ≤30 ml/min/1.73m2 이고 낮은 소변 알부민뇨) 환자에서 empagliflozin이 위약 대비 말기 신장 질환의 진행 또는 심혈관 사망의 복합 결과 위험을 감소시켜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별한 치료제가 없고 비가역적인 질환으로 결국에는 투석이나 신 이식 등의 신 대체 요법이 필요한 만성 신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empagliflozin을 포함한 다양한 SGLT2 억제제의 장기 사용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 결과들이 기대가 된다.

spon MSD AMGEN 릴리 종근당 동아ST 셀트리온 유한양행 아스트라제네카 한미약품 대웅제약 한독 SANOFI LG화학 novo nordisk 제일약품 이노엔 Daiichi-Sankyo 릴리 보령제약 부광약품 다림바이오텍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정윤석
  • Tel : 02-714-2428 | Fax : 02-714-5103 | E-mail : endo@endocrinolog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