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density lipoprotein (HDL) 과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의 역 상관관계는 지난 수십 년 동안의 역학 연구들을 통해 확인된 바 있다. 하지만 대규모 무작위 임상 연구 또는 멘델리안 무작위 연구들에서는 HDL 콜레스테롤이 관상동맥 심장질환에 대한 보호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입증하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HDL의 구조와 기능의 다양성, 특히 HDL 입자 (HDL-P)에 주목한 보다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최근 일부 연구에서 HDL-P의 크기에 따라 생물학적 기능이 다를 수 있으며, 작은 HDL-P가 더 강력한 죽상 동맥 보호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UK Biobank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화학 계측 방법으로 측정한 HDL 콜레스테롤과 핵자기공명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으로 측정한 새로운 HDL-P subclass의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과의 연관성 및 당뇨병 유무에 따른 차이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UK Biobank에서 393,516명의 참가자 (당뇨병 환자 20,691명, 비당뇨병 환자 372,825명)가 포함되었다. HDL-P는 크기에 따라 4개의 subclass (very large, large, medium, and small)로 정량화하였다. 중간 추적 기간 13.0년 동안 당뇨병 환자에서는 3,398명(16.4%), 비당뇨병 환자에서는 24,772명(6.6%)의 새로운 관상동맥 심장질환 사건이 발생했다. 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비당뇨병 환자에서 관상동맥 심장질환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당뇨병 환자에서는 U자 형태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상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인 환자 (40-60 백분위수, 1.32-1.51 mmol/L)와 비교했을 때, 상위 백분위수 (95th, >2.16 mmol/L)에 속한 환자들은 당뇨병이 없는 경우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이 낮았으나 (Hazard Ratio, 0.79; 95% 신뢰 구간, 0.73–0.86), 당뇨병 환자에서는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azard Ratio, 1.38; 95% 신뢰 구간, 1.02-1.88). HDL-P의 경우, 비당뇨병 환자에서는 very large HDL-P와 관상동맥 심장질환 간의 역 U자형 상관관계를 보였고, large HDL-P와 관상동맥 심장질환은 선형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당뇨병 환자에서는 very large HDL-P와 관상동맥 심장질환 간의 선형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large HDL-P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Medium 및 small HDL-P는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병 환자 모두에서 L자형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HDL과 관련된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은 당뇨병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매우 높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당뇨병 환자에서는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 증가, 비당뇨병 환자에서는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HDL-P subclass와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 연관성은 당뇨병 유무 및 HDL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작은 HDL-P는 당뇨병 환자에서 관상동맥 심장질환 위험과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very large HDL-P는 직접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추후 HDL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대상자들의 당뇨병 동반 유무, HDL 입자 크기에 따른 이질성, 비선형적인 연관성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