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비만/지질

김유지(전북대병원 내분비내과)

비만인 사람들은 생리적인 고혈당 상태에서 음식 이미지에 대한 뇌반응에 혼동을 보인다.
(Humans with obesity have disordered brain responses to food images duringphysiological hyperglycemia)

Renata Belfort-DeAguiar et al.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18; 314; 522–529

  혈당수치는 뇌의 음식 섭취 조절에 영향을 준다. 이 연구는 비만인 사람과 정상 체중사람을 대상으로 경미한 생리적 고혈당 상태에서 음식자극에 대한 뇌반응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당뇨병이 없는 건강한 10명의 비만인과 10명의 정상체중성인[body mass index: 34 vs. 23 kg/m2, means (SD), P < 0.0001]의 두뇌반응을 2단계 정상혈당-고혈당클램프 (two-step normoglycemic-hyperglycemic clamp) 와 함께 기능적 MRI(functional MR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참가자들에게 정상혈당(~95mg/dl)과 경미한 생리적 고혈당 (~130 mg/dl)에서 각각 음식 이미지와 음식이 아닌 다른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두 군에서 혈장 포도당수치는 2단계 클램프기법을 시행하는 동안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인슐린과 렙틴수치는 정상체중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고, 그렐린수치는 비만군에서 더 낮았다(all P <0.05).

  정상 체중군에서는 정상혈당인 경우보다 경미한 생리적 고혈당상태에서 음식 이미지에 대한 시상하부와 피각 (putamen)의 반응이 감소(P <0.001) 하였으나, 비만군에서는 뇌섬엽 (insula), 피각, 전방및 등외측전전두엽 (anteriorand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에서 활성도 증가를 보였다 (aPFC/dlPFC; P <0.001). 이러한 결과는 음식에 대한 인식및 내부장기를 통한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관여하는 뇌섬엽에서의 고혈당에 대한 반응이 정상 체중성인에서는 감소해 있는 반면, 비만한 성인에서는 증가해 있으며 이를 통해 비만인은 고혈당 상태에서 음식자극에 대한 뇌반응에 혼란이 있음을 보여준다. 사후분석에서 비만인 사람의 뇌활동은 고혈당상태에서 조절되지 않는자극 (선조체, striatum)과 음식 자극에 대한 부적절한 자가조절(aPFC/dlPFC)을보였다. 음식에 대한 뇌의 과자극 (hyperstimulation) 및 항상성 신호에 대한 무감각은 음식 섭취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비만발생기전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글루카곤양 펩티드-1 수용체 유사체는 스타틴을 투여중인 일본의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저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
(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s reduced th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Japan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reated with statins)

Yukiko Hasegawaet al. Journal of Clinical Lipidology 2018; 12; 62–69

  2형 당뇨병환자는 흔히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하며, 스타틴을 투여 하여도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LDL-C) 수치가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글루카곤양펩티드-1 수용체 유사체(GLP-1RAs)는 2형 당뇨병 환자의 지질수치 변화와 관계 있는것 으로 보고 되고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GLP-1RAs가 스타틴을 투여하고 있거나 투여하지 않는 2형 당뇨병환자에서 혈중콜레스테롤수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새롭게 GLP-1RAs 치료를 시작한 2형 당뇨환자 103명(GLP-1RA 군)과 GLP-1RAs를 투여하지 않는 2형 당뇨환자 214명 (대조군)을 대상으로 혈중 지질수치, 당화혈색소 (HbA1c), 체질량지수 (BMI) 등을 기준시점과 추적관찰시점 (중앙추적기간 119일)에 각각 평가하였다. 추가적으로 스타틴 치료유무에 따라서 각 군을 2개의 하위그룹으로 나누었다.

  GLP-1RA 군에서는 추적관찰기간 동안 LDL-C, HbA1c, 및 BMI 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에서 LDL-C, HbA1c, 및 BMI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high-densitylipoproteincholesterol,HLD-C)과 중성지방 (triglycerides) 수치는 양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스타틴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들의 추적관찰기간 LDL-C의 변화정도는 GLP-1RA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6.5% vs -1.0%, P =0.040). GLP-1RA 군에서 LDL-C의 감소 정도는 BMI 와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고(β = 0.103, p=0.299), 스타틴을 사용하는 환자에서만 LDL-C 감소와 HbA1c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β = 0.357, p =0 .004).

  결론적으로 GLP-1RAs는 스타틴을 투여중인 2형 당뇨병환자에서 유의하게 LDL-C 수치를 감소시켰고, GLP-1RA 치료에 따른 LDL-C 감소율은 BMI가 아닌 HbA1c와 연관성을 보였다. GLP-1RA와 스타틴의 병용투여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한 2형 당뇨병환자에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전략이 될 수 있다.

spon MSD 릴리 노바티스 다케다 사노피 베링거 세르비에 유한양행 대웅제약 아스텔 한독 종근당 노보 동아 일동 lg화학 cj헬스케어 삼진 보령 중외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우)04146    Tel : 02-2038-0072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김동선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