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갑상선

황세나(차의과학대학 차움병원 내분비내과)

능동적 감시 중 증가된 혈청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치가 미세갑상선유두암의 진행과 연관되어 있다
(High Serum TSH Level I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During Active Surveillance)

Kim HI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18; 103: 446-451

  갑상선자극호르몬 (thyrotropin, TSH)은 갑상선유두암의 발생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인자로 작용하며 이는 갑상선암 환자에서 TSH 억제요법을 시행하는 근거가 된다. 그러나 미세갑상선유두암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환자에서 능동적 감시 동안의 혈청 TSH 수치와 미세갑상선유두암 진행과의 연관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능동적 감시 중인 126명 환자의 127개 미세갑상선유두암을 연속적인 혈청 TSH 측정 및 초음파 검사와 함께 분석하였다. 환자는 시간가중평균(time-weighted average, TW) TSH 수치로 높은, 중간, 낮은 군으로 분류하였다. 미세갑상선유두암 진행은 baseline보다 50 % 이상의 부피 증가로 정의하였다. TW-TSH에 의한 분류군과 Cox 비례위험모형에 따른 Kaplan-Meier 생존분석을 하였다. TSH cut-off는 maximally selected log rank통계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결과에서 26 개월의 중앙추적기간 동안28 명 (19.8%)의 환자에서 미세갑상선 유두암이 진행되었다. 가장 낮은 TW-TSH 군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TW-TSH 군에서 미세갑상선유두암 진행에 대해 보정된 위험비 (adjusted hazard ratio)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HR 3.55; 95% confidence interval (CI), 1.22 - 10.28; P = 0.020] 중간 TW-TSH 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HR 1.52; 95% CI, 0.46 - 5.08; P = 0.489). 미세갑상선유두암 진행과 관련된 혈청 TSH cutoff 수치는 2.50 mU/L이었다. 결론적으로 능동적 감시 동안 혈청 TSH 수치의 지속적인 상승은 미세갑상선유두암 진행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미세갑상선유두암의 능동적 감시 동안 레보티록신 (levothyroxine) 치료로 낮은 정상범위의 TSH 수치를 유지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항갑상선 과산화효소항체 음성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임신부에서의 레보티록신 치료 효과
(Effects of Levothyroxine on Pregnant Women With Subclinical Hypothyroidism, Negative for Thyroid Peroxidase Antibodies)

Nazarpour S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18; 103: 926-935

  현재 항갑상선 과산화효소항체 (thyroid peroxidase antibody, TPOAb) 음성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subclinical hypothyroidism)인 임신부에서 갑상선 선별검사 및 레보티록신 (levothyroxine) 치료에 대해 이견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TPOAb음성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임신부에서 레보티록신 치료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는 Tehran Thyroid and Pregnancy Study에 포함된 연구이며 Shahid Beheshti 의과대학교 산전관리센터에서 TPOAb음성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임신부를 대상으로 단일맹검무작위 임상시험(sing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으로 진행하였다. 갑상선자극호르몬(thyrotropin, TSH) 수치 2.5 mIU/L를 기준으로 366명의 TPOAb음성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여성과 1092명의 정상갑상선기능 여성이 등록되었다.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여성은 무작위로 치료받는 A군 (n = 183)과 치료받지 않는 B군(n = 183)으로 분류하였고 총 1,028 명의 TPOAb 음성 정상갑상선기능 여성들은 대조군C군으로 설정하였다. 일차결과지표(primary outcome)로 조산의 비율을 보았다. 결과에서 TSH 2.5 mIU/L를 기준으로, A군과 B 군 간에 조산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elative risk (RR): 0.86; 95% confidence interval (CI): 0.47 - 1.55; P = 0.61]. 그러나 TSH 4.0mIU/L를 기준으로 한 log-binomial model 분석에서는 치료를 받지 않은 여성과 비교하여 레보티록신 치료를 받은 여성에서 조산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RR: 0.38; 95% CI: 0.15 - 0.98; P = 0.04). 결론적으로 TSH 2.5 - 4mIU/L 기준으로 나눈TPOAb 음성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 여성에서 레보티록신 치료가 조산율을 낮추지 못하였지만 새로운 기준치TSH ≥4.0mIU/L를 사용하면 이러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었다.

spon MSD 릴리 노바티스 다케다 사노피 베링거 세르비에 유한양행 대웅제약 아스텔 한독 종근당 노보 동아 일동 lg화학 cj헬스케어 삼진 보령 중외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우)04146    Tel : 02-2038-0072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김동선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