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갑상선

김희경(전남의대 화순전남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미만성 경화 변종 갑상선 유두암의 임상적 예후에 대한 다기관 연구
(Diffuse Sclerosing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s Associated With Aggressive Histopathological Features and a Poor Outcome: Results of a Large Multicentric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2016;101(12):4594-4602

  미만성 경화 변종 갑상선 유두암(DSV)은 고전적 유두암에 비해 공격적인 특징을 보이며, 재발 및 전이 등의 빈도가 높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아형이다. 초음파 소견상 결절 없이 미세 석회화 소견이 갑상선 실질에 산재되어 있는 “snowstorm appearance”를 보이며, 하시모토 갑상선 염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질환에 대한 경험이 없거나 정보가 없는 경우 진단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DSV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예후를 조사하고 DSV 이외의 전체 유두암 환자 (non-DSV) 및 DSV 이외의 고위험 아형의 유두암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56명 (평균 32.6±12.5세, 여성 82%) 의 DSV 환자를 2,945명의 non-DSV 유두암 환자와 48명의 고위험 유두암 환자와 비교하였다. DSV 환자의 82% (46명)가 pT3였으며 77%(43명)에서 갑상선 외 침윤이 관찰되었으며 96% (54명)에서 림프절 전이가 관찰되었다. 4.3±2.3년 평균 추적 관찰 동안 18명의 동측 측경부 전이를 포함하여 19명 (34%)에서 재발이 확인되었다. 재발 예측 인자로는 림프절외 침범 (extranodal extension, OR 3.4[1.1;108])이 유의한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7년 재발없는 생존 환자 (recurrence-free survival, RFS)는 63% 였으며, RFS는 전체 갑상선 유두암환자에 비해 불량한 예후를 보였으며 (HR 8.5[5.2;13.9], p<0.0001), 고위험 유두암 환자와 유사한 예후를 보였다 (HR 1.1 [0.6;2.2],p=0.5). 결론적으로 DSV 환자는 고위험 유두암 환자와 유사한 재발율을 보였으며,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와 적극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만성 자가면역 갑상선염 환자에서 셀레늄 보충제와 갑상선 자가 항체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Selenium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reduces thyroid autoantibody levels in patients with chronic autoimmune thyroid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yroid 2016;26(12):1681-1692

  셀레늄 보충이 만성 자가면역 갑상선염 환자에서 갑상선 자가 항체를 감소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셀레늄과 자가항체 관련된 3,366건이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18세 이상의 만성 자가면역 갑상선염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갑상선호르몬 투약 여부와 관계없이 셀레늄 보충제와 위약간의 비교 연구를 통해, 혈청 항 TPO 항체(TPOAb)와 항 티로글로불린 항체(TgAb)의 수치와 면역 조절 효과를 분석한 16개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갑상선호르몬 투약 중인 그룹에서, 셀레늄 투약군에서 3개월 투약 후 유의하게 낮은 TPOAb 결과를 보였으며, 6개월 12개월 째도 이러한 결과는 유지되었다. TgAb는 3개월과 6개월째는 차이가 없었으나, 12개월째는 셀레늄 투약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갑상선 호르몬을 복용하지 않는 환자에서는 셀레늄 그룹에서 3개월째 낮은 TPOAb 와 TgAb 수치를 보였으나 6개월 12개월째는 차이가 없었다. 셀레늄 투약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부작용 빈도가 보고되었다 (p=0.036). 결론적으로 셀레늄 투약이 만성 자가면역 갑상선염 환자에서 항 갑상선 항체를 감소시킬수 있지만 이러한 효과가 임상적으로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만리재로 14 한국사회복지회관 르네상스타워 빌딩 9층 901호 (우) 04195    Tel : 02-714-2428 / 716-2428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김동선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