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지질

남지선 (연세의대)

Longer duration of statin therapy is associates with decreased carotid plaque vascularity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스타틴 치료 기간이 길면 MRI상에서 경동맥 플라크의 vascularity 가 감소한다
Atherosclerosis 245 (2016) 74-81

플라크 내 신생혈관 (plaque neovasculature) 은 지단백과 백혈구가 플라크 내로 유입되는 주요 경로이며, 경동맥 플라크 파열의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Vp 는 dynamic-enhanced dynamic MRI를 이용한 약동학적 모델로부터 구한 변수로서, 플라크 신생혈관 밀도와 연관되어 있다. 동물실험에서 스타틴 치료가 신생혈관을 호전시킨다는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심혈관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동맥 플라크 신생혈관(Vp)과 스타틴 치료의 임상적인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AIM-HIGH 연구 (Atherothrombosis intervention in Metabolic Syndrome with Low HDL/ High Triglycerides and Impact on Global Health Outcomes Trial)의 subgroup 연구로서, 45세 이상의 관상동맥, 뇌혈관/경동맥, 혹은 말초혈관 질환 환자들 중에 이미 스타틴을 복용하고 있거나 statin 을 복용하지 않는 HDL-콜레스테롤 < 40 mg/dL (남), < 50 mg/dL (여), 중성지방 150-400mg/dL, LDL-콜레스테롤 < 180mg/dL 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95% 이상이 스타틴을 복용하고 있었고, 복용 기간에 따라 1년 미만 (21%), 1-5년 (40%), 5년 이상 (39%) 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일변량 분석 결과, 짧은 스타틴 치료 기간(P=0.01), 대사증후군 환자(P=0.02), 높은 체질량지수(P=0.01) 와 높은 지단백(a)(P=0.01) 등이 높은 Vp, 즉 높은 경동맥 플라크 신생혈관밀도와 연관이 있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도 스타틴 치료기간(P=0.004) 및 지단백(a)(P=0.04)과 Vp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은 지속되었다. 본 연구는 사람에서는 처음으로 스타틴 치료기간과 경동맥 플라크 감소 (regression) 간의 연관성을 보여주었으며, 추후 전향적 연구를 통해 이러한 현상을 다시 확인하고 장기간의 스타틴 치료로 인한 신생혈관의 변화가 플라크 파열의 감소로 이어지는 살펴봐야겠다.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hepatitis B and metabolic syndrom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만성 B 형 간염과 대사증후군, 혈청 지질농도간의 상관관계
Obesity (2015) doi:10.1002/oby.21333

간세포는 지질대사 및 당 항상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만성 간염바이러스간염과 당뇨병 혹은 심혈관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 지고 있으나, 일관되지 않은 결과들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과 대사증후군간의 연관성에 대해서 당뇨병이 없는 30-44세 사이의 대만인 17,030명 (남자 7437명, 여자 9593명, 평균 나이 36.0±3.9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전에 HBV에 대한 항 바이러스 치료를 받았거나 HBV 예방접종을 한 사람들은 제외하였다. HBs 항원의 유무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무 및 대사관련 지표들의 연관성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만성 B형 간염과 각각의 심혈관계 대사질환 위험인자들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structural equation 모델을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HBs 항원 양성인 대상자는 총 2982 (17.5%) 명이었고, 이 중 15.5%이 대사증후군 환자였다. HBs 항원 음성인 대상자 중 16.8%이 대사증후군에 속하였다. HBs 항원 양성자들은 나이와 성별 보정 후에 항원 음성자들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위험도 (odds ratio, OR) 가 0.76 (96% CI: 0.68-0.85) 로 낮았다. 이와 같은 역의 관계는 체질량지수, 혈중 alanine aminotransferase를 보정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HBsAg 항원 양성은 여러 인자들을 보정한 후에도 고중성지방혈증 (OR: 0.9, 95% CI: 0.52-0.66) 및 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혈증 (OR: 0.86, 95% CI: 0.79-0.93)과 역의 관계에 있었다.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통해 만성 HBV 감염이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HBV 바이러스의 수치 (viral load) 및 HBe 항원 양성여부가 고려되지 않았고, 단면연구라는 단점이 있지만, 이 연구를 통해 만성 HBV 감염과 대사증후군 간에 역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중성지방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등 혈청 지질농도의 변화가 일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MSD
  • 유한양행
  • 대웅제약
  • SANOFI
  • AstraZeneca
  • NOVARTIS
  • 한독약품
  • LG생명과학
  • 한미약품
  • Boehringer Ingelheim
  • Takeda
  • astellas
서울특별시 마포구 만리재로 14 한국사회복지회관 르네상스타워 빌딩 9층 901호 (우) 01495    Tel : 02-714-2428 / 716-2428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송영기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