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비만/지질

정수진(세종병원 내분비내과)

심혈관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Evolocumab의 임상효과
(Evolocumab and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Marc S.Sabatine,M.D., M.P.H.N Engl J Med 2017;376:1713-22.

  Evolocumab은 프로단백질 전환효소 서브틸리신-케신 타입 9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PCSK9)를 억제하는 monoclonal antibody로,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60% 정도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감소효과가 심혈관 질환 발생의 예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스타틴 치료를 받고 있으면서 LDL 콜레스테롤이 70mg/dL 이상인동맥경화성심혈관 질환 환자27,564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연구가 진행되었다. 환자들은 Evolocumab 치료(2주 간격으로 140mg 또는 한달간격으로 420mg 피하주사)를 받는 대조군과 위약을 사용하는 군으로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1차 평가변수는 심혈관성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인한 입원률, 관상동맥 재관류술의 복합발생 여부였다. 2차 평가변수는 심혈관성 사망,심근경색,뇌졸중의 복합 발생 여부였다.평균 연구기간은 2.2년이었다.

  48주째에,위약군과 비교하여 evolocumab으로 치료한 군에서 LDL 콜레스테롤이 59% 감소되었다(기저 LDL 콜레스테롤이 92mg/dL에서 30mg/dL로 감소, P<0.001). 위약군에 비하여 evolocumab 치료군에서 1차 평가변수가 유의하게 15% 감소하였고(1344명[9.8%] vs1563[11.3%]; hazard ratio,0.85; 95% confidence interval [CI], 0.79-0.92; P<0.001),2차 평가변수는 유의하게 20% 감소하였다(816명[5.9%] vs 1013[7.4%]; hazard ratio,0.80; 95% confidence interval [CI], 0.73-0.88; P<0.001). 이러한 효과는 LDL 콜레스테롤 사분위수의 가장 낮은 하위군(median LDL cholesterol 74mg/dL)에서도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주사부위 반응을 제외하고 다른 이상반응(당뇨발생, 신경인지기능 변화)에 있어서는 위약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타틴 치료를 받고 있던 환자에서evolocumab를 사용함으로써 LDL 콜레스테롤을평균 30mg/dL까지 감소시켰고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소견은 현재의 목표 LDL 콜레스테롤을 좀더 낮춤으로써 심혈관질환의 이득을 얻을수 있음을 시사한다.

소아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비침습적 진단을 위한 혈중 케메린(chemerin)과 아디포넥틴(adiponectin)
(Circulating adipokines in children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ossible noninvasive diagnostic markers.)

Mohamed AA. Ann Gastroenterol. 2017;30(4):457-463

  전 세계적으로 유행처럼 증가하고 있는 비만은 소아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유병률 증가의 주요원인이다. 간의 병리조직학적 평가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단의 표준방법이지만 치명률과 위험도가 높은 침습적인 시술이다. 이에 비만이면서 당뇨병이 없는 소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하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혈중 chemerin과 adiponectin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조직 검사를 통해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진단된 101명의 비만한 소아와, 나이, 성별을 매치시킨 57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전향적 환자 대조군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균 소아의 나이는 10.08±3.12세였다. 모든 환자 에게 전반적인 임상평가, 실험실검사 및 복부초음파를 실시하였다.HOMA-IR(Homeostatic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값을 구하였고, ELISA를 통해chemerin과 adiponectin을 측정하였다.

  증가된 chemerin과 감소된 adiponectin은 유의하게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ROC(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에서 대조군과 환자군이 구분되는 chemerin의 cutoff 값은 186.7ng/mL였으며,민감도는 56.44%,특이도는 87.72% 였다(P< 0.001). Adiponectin의 cutoff 값은 2.4µg/mL였으며,민감도는 74.26%, 특이도는 3.51% 였다(P< 0.001). 더불어 체질량지수, AST(aspartate transaminase), ALT(alanine transaminase), TG(triglycerides), γ-GTP(gamma-glutamyl transferase)도 chemerin과 양의상관관계, adiponectin 과 음의 상관관계를 유의하게 보였다(P< 0.001).

  당뇨병이 없는 비만소아에서 혈중 chemerin과 adiponectin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하는데 비침습적인 진단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spon
서울특별시 마포구 만리재로 14 한국사회복지회관 르네상스타워 빌딩 9층 901호 (우) 01495    Tel : 02-714-2428 / 716-2428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김동선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