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분비학회 소식지

대한내분비학회 홈페이지
모아보기

갑상선

김원구 (울산의대)

방사선 요오드 불응성 갑상선암에 대한 Lenvatinib의 효과
(Lenvatinib versus Placebo in Radioiodine-Refractory Thyroid Cancer)
Schlumberger M et al.   N Engl J Med. 372: 621-30, 2015

Lenvatinib은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1-3,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1-4,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α, RET, KIT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가진 경구용 약제로서, 2상 연구에서 난치성 갑상선암 환자에서 임상적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방사선 요오드 치료에 불응성인 분화 갑상선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lenvatinib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다기관 3상 연구이다. 261명의 환자가 lenvatinib 치료군 (하루 24 mg), 131명은 대조군에 포함되었으며, 대조군의 환자에서 갑상선암이 진행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lenvatib 치료를 선택할 수 있었다. 일차평가변수는 무진행 생존율 (progression free survival)이었으며, 이차평가변수는 반응율, 생존율과 안전성이었다.

Lenvatinib 치료군의 무진행 생존율은 18.3개월인데 반해서 대조군은 3.6개월이었다 (HR=0.21, 99% CI=0.14-0.31, p<0.001). Lenvatinib 으로 인한 무진행 생존율의 증가는 기존에 설정된 모든 하위집단에서 확인되었다. Lenvatinib 사용군의 반응율은 64.8% 인 반면 대조군은 1.5% 였다 (p<0.001). 치료군과 대조군의 중위 생존기간은 연구기간을 넘어서서 확인되지 않았다. 치료와 관련된 부작용은 lenvatinib 군의 40%에서 발생하였으며, 고혈압 (67.8%), 설사 (59.4%), 피로감 (59.0%), 식욕감퇴 (50.2%), 체중감소 (46.4%), 오심 (41.0%) 등이 있었다. 부작용으로 인해서 lenvatinib을 중단한 환자는 37명 (14.2%) 이었으며, 대조군에서도 3명 (2.3%)이 부작용으로 약을 중단하였다. Lenvitinib 치료군에서 20명이 사망하였고 그 중에서 약제 관련된 사망은 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요오드 불응성 갑상선암 환자에서 levatinib은 무진행 생존율과 반응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한편 부작용은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Lenvatinib은 향후 방사선 요오드 불응성 갑상선암의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abrafenib을 이용한 방사선 요오드 불응성 BRAFV600E 돌연변이 갑상선 유두암 전이에 대한 재분화 치료 (Redifferentiation of Iodine-Refractory BRAFV600E-Mutant Metastatic Papillary Thyroid Cancer with Dabrafenib)
Rothenberg SM et al.   Clin Cancer Res. 21: 1028-35, 2015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 재발이나 전이에 있어서 방사선 요오드 치료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치료이다. 하지만, 방사선 요오드 치료에 처음부터 저항성을 보이거나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서 저항성을 보이는 환자들이 있다. 이 연구는 방사선 요오드 치료에 불응성인 갑상선 유두암 중에서 BRAFV600E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선택적 BRAF 억제제인 dabrafenib을 단기간 사용하여 방사선 요오드 섭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4개월 이내의 전신요오드 스캔에서 방사선 요오드 불응성이 확인된 BRAFV600E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갑상선 유두암 환자 10명을 포함하였다. 각각의 환자에서 dabrafenib (150mg 하루 2번)을 25일간 복용한 후에 갑상선자극호르몬을 이용한 I-131 전신 진단스캔 (4 mCi)을 촬영하였다. 진단 스캔에서 새로운 부위에 요오드 섭취가 증가된 환자는 17일 동안 dabrafenib을 더 복용한 이후에 고용량 방사선 요오드 치료 (150 mCi)를 받았다. 연구는 일차적으로 dabrafenib 치료 후에 새로운 요오드 섭취 증가가 있는 환자의 비율을 평가하였다.

10명의 환자 중에서 6명 (60%)에서 dabrafenib 사용 후에 진단스캔에서 새로운 요오드 섭취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고용량 방사선 요오드 치료가 시행되었다. 3개월 뒤 방사선학적으로 치료의 반응을 평가한 결과 2명에서는 부분관해가 관찰되었고, 4명은 안정병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갑상선글로불린은 6명 중 4명에서 감소하였다. 1명의 환자에서는 피부에 편평상피암이 발생하였으며, 다른 유의미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dabrafenib의 단기간 사용을 통해서 BRAFV600E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방사선 요오드 불응성 갑상선 유두암환자에서 방사선 요오드의 섭취를 자극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abrafenib을 활용한 재분화 유도는 이러한 환자에서 새로운 치료적인 접근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MSD
  • 유한양행
  • 대웅제약
  • SANOFI
  • AstraZeneca
  • NOVARTIS
  • 한독약품
  • LG생명과학
  • 한미약품
  • Boehringer Ingelheim
  • Takeda
  • astellas
서울특별시 마포구 만리재로 14 한국사회복지회관 르네상스타워 빌딩 9층 901호 (우) 121-706    Tel : 02-714-2428 / 716-2428
Fax : 02-714-5103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사업자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 송영기

Copyright(c)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