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
뇌하수체/부신 |
갈색세포종과 곁신경절종 환자에서 악성 종양의 임상적 예측 인자
(Clinical predictors of malignancy in patients with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
12 |
뇌하수체/부신 |
쿠싱병의 새로운 치료제인 11β hydroxylase 억제제, Osilodrostat의 임상결과
(Osilodrostat, a potent oral 11b-hydroxylase inhibitor: 22-week, prospective, Phase II study in Cushing’s disease)
|
11 |
뇌하수체/부신 |
빈안장증후군을 가진 말단비대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수술에 따른 결과들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romegalic patients with empty sella and their outcomes following
transsphenoidal surgery)
|
10 |
뇌하수체/부신 |
ACTH 의존성 쿠싱 증후군의 감별 진단에 있어서의 검사 방법간 비교
(Second-line test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CTH-dependent Cushing’s syndrome)
|
9 |
뇌하수체/부신 |
데스모프레신 검사는 쿠싱병에서 장기간의 수술 후 경과를 기저 코르티솔보다 더 잘 예측한다. (The desmopressin test
predicts better than basal cortisol the long-term surgical outcome of Cushing’s disease)
|
8 |
뇌하수체/부신 |
일차 알도스테론증의 선별 검사, 진단과 치료: 미국내분비학회 임상진료지침
|
7 |
뇌하수체/부신 |
성호르몬과 허혈성 뇌졸중: 전향적 코호트 연구와 메타분석
Sex Hormones and Ischemic Stroke: A Prospective Cohort Study and Meta-Analysis
|
6 |
뇌하수체/부신 |
쿠싱증후군의 치료 : 미국내분비학회 임상진료권고안
Treatment of Cushing's Syndrome: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5 Aug;100(8):28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