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1 교수님께서 기능저하 치료 시 부신기능 저하를 보고 치료하라고 강의 하셨는데 부신기능 저하가 있으면 어떻게 치료하십니까?
부신기능저하가 뚜렷할 경우 우선 충분한 glucocorticoid 를 투여한 이후, 부신기능저하 증상 및 징후가 모두 회복된 이후에 levothyroxine 최소 용량을 천천히 투여하여 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부신기능저하가 뚜렷하지 않을 경우에는 glucocorticoid 투여 하면서 바로 같이 투여하여도 크게 문제되지 않겠습니다.
10 투석환자에서 hypothyroidism 을 진단하시는 방법이 있으신지요, TSH 상승도 둔화된 느낌이고, FT4, T3 도 검사의 신뢰도가 떨어져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는지 진단 내리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투석환자의 경우 Total T3, Total T4의 검사는 부정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CKD 환자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위험이 높습니다. 그러나 TSH는 큰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TSH 의 정상상한치를 목표로 leovthyroxine 치료를 시행하시면 되겠습니다.
9 일반 여성과 갑상선 전절제술을 했던 임신부나 임신을 준비하는 여성에서는 갑상선 호르몬을 어떤 기준으로 보충해주면 될까요?
임신을 준비하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서는 가능한 TSH <4.0 이내를 유지하도록 levothyroxine 치료를 유지하여야 하겠습니다.
8 노인 갑상선암 수술 후 환자도(특히 low risk, op 10y 이상 경과) tsh 4~7 유지하는 게 가능할지요? low risk 환자에게서 tsh 0.1-2 유지하려니까 bone loss 등 부담되는 부분이 있어서요,,
갑상선암 환자의 경우 low risk 일 경우에는 TSH suppression이 꼭 필요하지 않습니다. TSH 2~4를 유지하셔도 무방하겠습니다 다만, 갑상선암환자에서 TSH 4~7 사이를 유지 가능여부는 좀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습니다. 아직까지는 4이내를 유지하시길 권유드립니다.
7 갑상선기능저하 환자에서 어떤 경우 anti Tg Ab를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만성 자가면역갑상선염의 가장 대표적인 marker는 TPO-Ab 이지만, 실제적으로 약 20%환자에서 음성인 경우가 있습니다. 자가면역갑상선염이 의심되는 경우에 TPO-Ab가 음성이라면, 시행해 볼 수 있겠습니다.
6 갑상선 기능저하증으로 2년전부터 씬지 0.075mg 1t 복용중인 환자입니다. TSH 1.26 (정상 범위 0.27~4.20?U/mL) Free T4 :1.96 (정상 0.93~1.70) , 3개월후 검사에서도 마찬가지로 TSH 는 정상/ free T4 는 약간 올라간 상태입니다. 이때 씬지를 0.05mg 으로 감량해서 드리는게 맞을까요?
TSH가 정상임에도 FT4가 증가한 경우에는 대부분 약제 복용 직후 채혈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음 검사시에는 혈액검사 당일에는 약제 복용하지 않고 검사를 시행해 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5 갑상선 질환이 없는 분이 수술 전 검사로 TFT 시행했는데 TSH 경미한 상승 보인다고 협진을 받은 경우 수술전에 levothyroxine 투여해서 정상화 시킨 후 진행을 하시는지 TSH 정상화 될 때까지 수술을 미루라고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subclinical hypothyroidism) 은 수술 전후에 peri-operative complication의 위험이 높지 않습니다. 수술을 연기하거나 치료를 시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FT4가 같이 감소함 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의 경우 수술 후 합병증의 위험이 있습니다. Emergency 수술 또는 Urgent 수술이 아니라면 levothyroxine 치료를 시행한 후 대사적으로 정상 갑상선기능을 회복한 수 수술을 권유합니다. 다만 대사적으로 정상갑상선기능의 완전한 회복은 1~2개월 후이기 때문에, 수술이유 환자의 임상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술시기를 결정하셔야 하겠습니다.
4 소아청소년 성장클리닉에서 tft 하고 tsh 5-7 정도 나와서 refer 되는 case 가 요즘 좀 있습니다. 어떻게 대처하면 될지 고견 부탁드립니다.
소아는 갑상선호르몬대사가 더 활발하여, 더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TSH가 상승되어 있을 경우 약제투여를 고려하여야 하겠습니다.
3 뇌하수체기능저하증으로 인한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부신스테로이드호르몬 먼저 치료 후에 주어야 한다고 하는데 얼마의 기간을 두고 주면 될까요?
환자별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Hyponatremia, hypoglycemia 등 부신기능저하가 뚜렷할 경우에는 부신피질호르몬 보충 후 기능저하상태에서 충분히 회복된 것을 확인 후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해야 합니다. 다만, 부신기능저하가 뚜렷하지 않을 경우 부신피질호르몬 투여 후 바로 투여하셔도 크게 문제되지 않겠습니다.
2 60대 이상 환자분은 tsh >10 일 때 치료를 고려하라는 강의 내용은 많이 들었습니다. 최근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보훈 질환 대상이 되면서 진단서 끊으러 오시는 분이 많으신데, tsh >4.2 이상이면 약을 복용 안하고 있어도 갑상선기능저하증이라고 진단 내릴 수 있는지, 또는 tsh >7 또는 tsh>10 + 씬지로이드 복용일 때 진단을 줄 수 있는지요?
현성갑상선기능저하증(Overt hypothyroidism)은 Free T4 감소가 있을 때 진단할 수 있겠습니다. TSH만 증가한 경우 (10이상이라도) 에는 무증상갑상선기능저하증(subclinical hypothyroidism)의 진단코드를 사용하시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1 임신 시 TSH 기준을 1/2/3분기별로 나눠서 관리하시나요? 아니면 0.5~4 정도로 분기 상관없이 보시나요?
최근 국내가이드라인을 제작 중에 있으며, 임신분기에 상관없이 TSH 상한치는 <4.0 이하를 기준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대한내분비학회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성명 : 정윤석)
대한내분비학회 제56회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04315) 서울특별시 용산구 백범로 341 금호리첸시아 A블럭 308호
  • T. 02-2285-2579   E.endo_tc@into-on.com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