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Q&A

연수강좌 당일 남겨주신 질의에 대해 해당 강의 연자께서 직접 답변하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답변되거나 질의 내용이 불확실한 경우 등 일부 질의는 제외되었음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1 SGL2i 단독으로 처방하는 비율이 많으신가요? 초치료에서도 단독으로 쓰시나요?
CKD, HF와 같은 절대적인 적응증이 있으면 먼저 사용합니다만 그런 적응증이 없는 경우에는 저는 metformin 부터 사용합니다.
10 수유 중인 환자들이 혈당이 높아 수유 중 아기에게 악영향이 있을까 봐 걱정합니다. 출산 후 수유 중인 환자에서 식전, 식후 혈당, 당화혈색소 목표는 임신 전 일반 환자의 목표/임신 중 목표와 다르게 설정하나요?
수유 중인 엄마가 혈당이 높다고 아기에게 악영향이 있진 않습니다. 출산 후 혈당 조절 목표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고, 일반적인 당뇨병 치료 목표를 따르는 것이 맞겠습니다. 임신 중에는 식전 95미만, 식후 1시간 140 미만, 식후 2시간 120 미만이 목표이고,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의 경우 A1c 6.5% 미만으로 조절된 상태로 임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9 omega-3가 급여조건이 되지 않아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당뇨환자에게 도움이 되나요?
개인적으로는 오메가 3는 고중성지방혈증의 치료에서 fibrate의 보조제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8 심부전 치료하는 교수님들께서는 심부전은 노인병이어서 체중 감소나 콩팥에 문제가 없다면 사망하실 때까지 처방한다는데, 내분비 교수님들께서는 80세 이상만 되어도 쓰지 않는다 합니다. 몇 살까지 처방해야 할까요?
현재는 처방 연령 상한이 없고, 고령에서도 동등한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어 부작용의 문제만 없다면 지속 사용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7 내분비내과에서 당뇨약 2제 투약 중 심장내과에서 심부전 발견되어 SGLT2i 추가로 투약할 경우 급여 적용이 되는지요?
100/100 환자부담급여 사항입니다.
6 당뇨환자 중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혈당 조절이 안되는 경우 췌장에 대한 검사가 필요한가요.
정해진 가이드라인은 없고, 환자 상황에 따라 개별적인 접근이 필요하겠습니다.
5 SGL2I 를 처방하는데 있어서 만성 신장질환일때 무조건 고려하라고 말씀하셨는데 단백뇨 양성 환자에서도 SGL2 I 를 썼을 때 더 도움이 되는지요?
네, 단백뇨 양성(>30 mcg/mg cr) 인 경우와 eGFR 감소한 경우 모두 만성신장질환이고, 단백뇨 양성 시에도 추천됩니다.
4 현재 GLP1 agonist의 보험기준이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SU+metformin사용중 혈당조절이 안되는 환자에서 SU+met+GLP1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 혹은 insulin사용중 A1c>7.0인 경우에 insulin+GLP1으로 사용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진료지침과는 상당한 갭이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e.g. 심혈관Hx있는 환자에서 metformin+GLP1으로 투약하는 경우) 전액본인부담으로 처방하시는지, 혹은 급여로 처방하는 경우라면 실제 삭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진료지침은 임상연구의 근거를 따르고 있고, 보험기준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보험기준변경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3 아스피린에 대해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요?
2018년 발표된 아스피린 관련 대규모임상연구 이후에는 특별한 변경 사항이 없습니다.
2 CKD, HF, ASCVD event 가 있었던 환자에게는 1차 치료제로 metformin 말고 sglt2i 를 고려하여야 할까요?
CKD, HF에 대해서는 metformin보다 우선하여 고려하고, ASCVD 에 대해서는 대한당뇨병학회 가이드라인에서는 Metformin 우선, 그 다음 GLP1RA나 SGLTi 추천하고 있습니다.
1 오랜 기간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당뇨병 환자 고혈압 기준을 140/85 이상으로 했는데 최신 업데이트에서 140/90 으로 바뀌게 된 부분에 대해 이유가 뭔가요?
85에 대한 근거 부족과 대한고혈압학회 치료 목표와의 통일을 위해 변경하였습니다.

대한내분비학회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대표자 성명 : 정윤석)
대한내분비학회 제56회 연수강좌 준비사무국
  • (04315) 서울특별시 용산구 백범로 341 금호리첸시아 A블럭 308호
  • T. 02-2285-2579   E.endo_tc@into-on.com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