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 |
당뇨병 |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 환자에서 엠파글리플로진의 효과: EMPEROR-Preserved 임상연구결과
(Empagliflozin in Heart Failure with a Preserved Ejection Fraction)
장시간 GLP-1 수용체 작용제 에페글레나타이드가 심혈관과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ardiovascular and Renal Outcomes with Efpeglenatide in Type 2 Diabetes)
|
177 |
지질/비만 |
한국 성인에서 채식위주 식단의 종류에 따른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plant-based diet and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
176 |
지질/비만 |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글로벌 현황: 유럽동맥경화학회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연구그룹 (FHSC) 레지스트리를 활용한 단면연구
(Global perspective of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a cross-sectional study from the EAS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Studies Collaboration (FHSC))
|
175 |
지질/비만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바이오마커에 대한 새로운 이중 GIP 및 GLP-1 수용체 작용제 Tirzepatide의 효과
(Effects of Novel Dual GIP and GLP-1 Receptor Agonist Tirzepatide on Biomarkers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
174 |
뇌하수체/부신 |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치료 후 알도스테론과 혈압과 심혈관계 사건의 위험과의 연관성
(Association of aldosterone and blood pressure with the risk for cardiovascular events after treatments in primary aldosteronism)
|
173 |
뇌하수체/부신 |
갈색세포종에서 수술 중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예방하기 위한 암로디핀 전처치
(Preoperative Amlodipine Is Efficacious in Preventing Intraoperative HDI in Pheochromocytoma: Pilot RCT)
|
172 |
뇌하수체/부신 |
수술 관해율에 영향을 미치는 쿠싱병의 진단적 함정: 105명 환자로부터의 검사 결과 임계값과 교훈
(Diagnostic pitfalls in Cushing’s disease impacting surgical remission rates; test thresholds and lessons learned in 105 patients)
|
171 |
뇌하수체/부신 |
면역치료제 유발 뇌하수체염과 일차성 뇌하수체염의 차이에 대한 다기관 후향적 연구
(Differences between immunotherapy-induced and primary hypophysitis -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