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내분비학회

전체메뉴

대한내분비학회 내분비질환 관련 임상 및 기초 연구자들의 학술 활동의 구심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합니다.

최신 내분비질환

Home > 학회지&간행물 > 내분비 소식지 > 최신 내분비질환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작게
  • 현재 페이지 프린트하기
학회지&간행물
게시판 검색

현재페이지 1 / 36

번호 카테고리 제목
282 지질/비만 ESC/EAS 이상지질혈증 관리 가이드라인 2025년 업데이트
유럽심장학회(ESC) 및 유럽동맥경화학회(EAS) 이상지질혈증 관리 (2025 Focused Update of the 2019 ESC/EA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aemias
Developed by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aemias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and the European Atherosclerosis Society (EAS))

고콜레스테롤혈증 일본환자에서 bempedoic acid의 효과와 안전성: 다기관, 무작위,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용량 탐색 2상 임상시험 (Efficacy and Safety of Bempedoic Acid for Hypercholesterolemia in Japan: A Phase 2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Dose-Finding Trial)
281 지질/비만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에서 카그릴린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의 병용 투여
(Coadministered Cagrilintide and Semaglutide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2형 당뇨병과 과체중 또는 비만이 있는 성인에서 카그릴린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의 병용 투여
(Cagrilintide–Semaglutide in Adults with Overweight or Obesity and Type 2 Diabetes)
280 뇌하수체/부신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에서 Lorundrostat의 효능 및 안전성 (Lorundrostat Efficacy and Safety in Patients with Uncontrolled Hypertension)
279 뇌하수체/부신 말단비대증 안면 변화의 인공지능 분석: AcroFace 시스템
(Acromegaly facial changes analysis using last gener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ology: the AcroFace system)

수술 후 뇌하수체 선종 재발 예측을 위한 머신 러닝 기반 모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Prediction of recurrence after surgery for pituitary adenoma using machine learning-based model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78 골대사 X-염색체 연관 저인산혈증 성인 환자에서 burosumab과 경구 인산염/활성 비타민 D 보충치료의 실제 효과 비교
(Real-world Effectiveness of Burosumab vs Oral Phosphate and Active Vitamin D in Adults with XLH)

양성자펌프억제제(PPI) 사용과 골소주 점수(TBS), 골밀도(BMD)와의 관련성
(Proton Pump Inhibitor Exposure, Trabecular Bone Score, and BMD: A Registry-based Cohort Study)
277 갑상선 분화 갑상선암 환자에서 동시 화학요법 병행 여부에 따른 외부 방사선 치료의 장기 결과
(Long-Term Results of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with or Without Concurrent Chemotherapy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렌바티닙으로 치료받은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장기 임상 결과: 일본 실제 진료 환경에서의 결과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reated with Lenvatinib: Results from Real-World Practice in Japan)
276 당뇨병 만성콩팥병을 동반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finerenone과 empagliflozin 병용요법의 효과
(Finerenone with Empagliflozin in Chronic Kidney Disease and Type 2 Diabetes)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주 1회 IcoSema와 인슐린 Icodec의 효과 비교
(Once-weekly IcoSema versus once-weekly insulin icodec in type 2 diabetes management [COMBINE 1])
275 지질/비만 지속적 암죽미립혈증 치료 및 췌장염 위험 관리를 위한 Plozasiran
(Plozasiran for Managing Persistent Chylomicronemia and Pancreatitis Risk)
경구용 Muvalaplin의 지단백(a) 감소 효과: 무작위 임상시험
(Oral Muvalaplin for Lowering of Lipoprotein(a): A Randomized Clinical Trial)

상단으로 이동

Copyright ⓒ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All rights Reserved

  • [04146]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2503호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2-31113
  • 대표자 성명 : 홍은경
  • Tel : 02-714-2428 | Fax : 02-714-5103 | E-mail : endo@endocrinology.or.kr
SNS
instagram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