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
수상자없음 |
2018년 |
울산의대 김원구 |
갑상선 여포암의 바이오마커 발굴(Discovery of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follicular thyroid cancer) |
2017년 |
연세의대 강은석 |
Differential Effect of Adding Ezetimibe to Statin on Cardiovascular Events among Patients with or without Diabetes: Meta-analysis and Ex Vivo Experiments |
2016년 |
서울의대 박영주 |
갑상선 여포변종 유두암의 분자 유전학적 아형 분류와 바이오마커 개발 (Genetic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development of biomarkers for the subclassification of follicular variant papillary thyroid cancer) |
2015년 |
서울의대 최성희 |
당뇨병과 관상동맥질환자에서 이소성 지방 종류에 따른 지질 (lipid) 구성의 lipidomics 분석 (Comprehensive analysis of lipid composition by lipidomics of ectopic fats in diabete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
2014년 |
성균관의대 이원영 |
스핑고신 키나아제와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조절을 통한 베타세포 기능 개선 유도 (Enhancement of pancreatic beta cell
function with modulation of sphingosine kinase 1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
2013년 |
울산의대 김원배 |
알파 리포산을 이용한 갑상선암의 상피중배엽세포 전이 억제(Inhibition of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in thyroid cancer using alphalipoic acid) |
2012년 |
울산의대 김원구 |
글루카곤양 펩티드1 투여가 췌장베타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생성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
2011년 |
서울의대 조영민 |
갑상선 여포암의 바이오마커 발굴(Discovery of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follicular thyroid cancer) |
2010년 |
수상자없음 |
2009년 |
울산의대 송영기 |
갑상선암의 새로운 치료법으로써 암세포 분화 유도법 개발 |
2008년 |
관동의대 한기옥 |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골소실의 기전에 대한 연구 |
2007년 |
고려의대 최경묵 |
PPARδ 작용제가 백서 지방조직과 3T3L1 지방세포의 아디포카인 발현과 AMPK 및 NFκB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2006년 |
성균관의대 오기원 |
인간간엽줄기세포에서 유래된 조골세포에서 adiponectin 수용체 확인 및 한국인 여성에서 adiponectin 유전자 다형성과 골대사의 관련성 관찰 |
2005년 |
충남의대 송민호 |
전이성 갑상선암의 치료를 위한 다중약물 작용점의 발굴과 화합물의 개발 |
2004년 | 수상자없음 |
2003년 |
경희의대 박승준 |
성장호르몬방출호르몬에 대한 반응성을 보이는 뇌하수체 GH3 세포에서 G 단백 돌연변이에 의한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유전자 발현의 변화 |
2002년 | 수상자없음 |
2001년 | 수상자없음 |
2000년 |
한양의대 박용수 |
한국인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과 제1형 당뇨병의 유전학적 연관성 |
1999년 |
가톨릭의대 강무일 |
조혈모세포 이식술이 골수기질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